최문정 작가

안녕하세요,
저는 약수 세시작업실에서 도자기 작업을 하는 최문정입니다.


세시작업실에는 3가지 의미가 있어요. 우선, 대학원 때 만난 친구들 3명이 이 공방을 꾸려가고 있는데, 그 3명이 같이 꾸린 작업실이라는 의미에서 세시(셋이)작업실이라고 지었어요. 시간에 빗대어 보면, 오후 3시가 지치기도 하지만 나른한 시간이라고도 생각하는데요. 저는 그때의 빛도 좋고, 개인적으로 세시라는 어감도 참 좋아해요. 그리고 세시는 세밀한 시간을 줄인 말이기도 합니다.

최문정 작가의 작업실
최문정 작가의 작업실

제 작업물을 보낼 때에는

저의 큰 시간과 마음을 담아 보냅니다.


옷 입는 것, 먹는 것, 생활하는 것 그리고 궁극적으로 도자기에서도 저는 편안한 것을 선호해요. 시각적으로도, 제가 느끼기에도 편안함과 익숙함을 주는 도자기를 추구하죠. 제가 오후 3시를 좋아하는 것과 비슷해요. 


제 기법은 겉으로 보기에는 편안하고 깔끔해 보이지만, 과정이 굉장히 많은 작업물 중 하나에요. 흙을 공수해 올 때는 같은 지역이라고 할지라도 철분의 함량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기도 해요. 가마 안에서는 수축률도 계속 확인해주어야 하고요. 제가 갖고 가야 하는 과제들이 참 많은 작업이죠. 


대학원 때는 선생님께서 ‘과정이 그렇게 많은 걸 누가 알아줄 것 같으냐’라고 얘기해 주신 적이 있어요. 저도 제가 만든 저의 작업 과정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사실 덜어내야 하는 것도 많고 이런 방식으로 내가 꾸준히 작업할 수 있을까 생각도 많이 들지만, 제가 스스로 만든 과제들을 통과한 작품들은 당당하게 보일 수 있게 됐어요. 적어도 나는 도자기 하나를 만드는 데 그 무수한 과정과, 거기에 담은 내 노력을 아니까. 누가 뭐라든 제 작품 앞에서는 떳떳해지는 거죠.

이번 어니스트 테이스트에 사용된 작품
이번 어니스트 테이스트에 사용된 작품

새로운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어,
어니스트 테이스트에 참여하게 됐어요.


‘조화, 편안함’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 데, 실제로 제가 작업을 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균형과 화합이에요. 저는 누군가를 만나는 것도 너무 좋아하고, 그만큼 제 도자기에 다른 걸 콜라보 하는 것도 너무 좋아해요. 


제안 주셨을 때, 이건 그동안 제가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닌 부분이라고 생각했어요. 제가 만약에 꽃을 꽂아서 무언가를 하고 싶다고 하더라도 제가 할 수 있는 한계가 있잖아요. 이런 점에서 제가 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새로운 것을 보여줄 기회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좋다고 생각했어요.


이번에 제작한 화기도 꼭 화병으로만 쓰는 게 아니라,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했어요. 저희가 디자인 자체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 작업물을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게 저는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공예가로서 큰 기쁨을 느끼는 순간 중 하나이기도 해요.

최문정 작가의 작품들
최문정 작가의 작품들

취향을 찾기 위해 모인 테이스터에게.


사실 제게 도자기 자체를 엄청 좋아하는 사람이냐고 물어봐 주신다면 저는 도자기를 좋아하는 것보다 도자기를 만들면서 보내는 시간을 정말 좋아하는 것 같아요. 


저희가 시간을 내어 직접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고 이뤄내는 행위가 많지 않잖아요. 삶을 영위하는 생활에서 자아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순간이 많지 않은데, 작은 시간을 투자하셔서 도자기를 배우신다면  스스로 발전되는 모습을 뚜렷하게 볼 수 있는 게 도자기라고 생각해요.


만약 배우는 거에 관심이 없다면, 도자기를 사용하시면서도 느낄 수 있어요. 세상에 얼마나 많은 물질이 있어요. 이 물질이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생각해보셔도 좋고, 작가와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에 찾아가 본다면 시야가 훨씬 넓어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Info.

인스타그램ㅣ@moonjeongchoi___ 바로가기

최문정 작가의 작품 세계는

1월 28일 진행되는 세미나를 통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최문정 작가

안녕하세요,
저는 약수 세시작업실에서 도자기 작업을 하는 최문정입니다.


세시작업실에는 3가지 의미가 있어요. 우선, 대학원 때 만난 친구들 3명이 이 공방을 꾸려가고 있는데, 그 3명이 같이 꾸린 작업실이라는 의미에서 세시(셋이)작업실이라고 지었어요. 시간에 빗대어 보면, 오후 3시가 지치기도 하지만 나른한 시간이라고도 생각하는데요. 저는 그때의 빛도 좋고, 개인적으로 세시라는 어감도 참 좋아해요. 그리고 세시는 세밀한 시간을 줄인 말이기도 합니다.

최문정 작가의 작업실
최문정 작가의 작업실

제 작업물을 보낼 때에는

저의 큰 시간과 마음을 담아 보냅니다.


옷 입는 것, 먹는 것, 생활하는 것 그리고 궁극적으로 도자기에서도 저는 편안한 것을 선호해요. 시각적으로도, 제가 느끼기에도 편안함과 익숙함을 주는 도자기를 추구하죠. 제가 오후 3시를 좋아하는 것과 비슷해요. 


제 기법은 겉으로 보기에는 편안하고 깔끔해 보이지만, 과정이 굉장히 많은 작업물 중 하나에요. 흙을 공수해 올 때는 같은 지역이라고 할지라도 철분의 함량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기도 해요. 가마 안에서는 수축률도 계속 확인해주어야 하고요. 제가 갖고 가야 하는 과제들이 참 많은 작업이죠. 


대학원 때는 선생님께서 ‘과정이 그렇게 많은 걸 누가 알아줄 것 같으냐’라고 얘기해 주신 적이 있어요. 저도 제가 만든 저의 작업 과정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사실 덜어내야 하는 것도 많고 이런 방식으로 내가 꾸준히 작업할 수 있을까 생각도 많이 들지만, 제가 스스로 만든 과제들을 통과한 작품들은 당당하게 보일 수 있게 됐어요. 적어도 나는 도자기 하나를 만드는 데 그 무수한 과정과, 거기에 담은 내 노력을 아니까. 누가 뭐라든 제 작품 앞에서는 떳떳해지는 거죠.

이번 어니스트 테이스트에 사용된 작품
이번 어니스트 테이스트에 사용된 작품

새로운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어,
어니스트 테이스트에 참여하게 됐어요.


‘조화, 편안함’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 데, 실제로 제가 작업을 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균형과 화합이에요. 저는 누군가를 만나는 것도 너무 좋아하고, 그만큼 제 도자기에 다른 걸 콜라보 하는 것도 너무 좋아해요. 


제안 주셨을 때, 이건 그동안 제가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닌 부분이라고 생각했어요. 제가 만약에 꽃을 꽂아서 무언가를 하고 싶다고 하더라도 제가 할 수 있는 한계가 있잖아요. 이런 점에서 제가 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새로운 것을 보여줄 기회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좋다고 생각했어요.


이번에 제작한 화기도 꼭 화병으로만 쓰는 게 아니라,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했어요. 저희가 디자인 자체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 작업물을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게 저는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공예가로서 큰 기쁨을 느끼는 순간 중 하나이기도 해요.

최문정 작가의 작품들
최문정 작가의 작품들

취향을 찾기 위해 모인 테이스터에게.


사실 제게 도자기 자체를 엄청 좋아하는 사람이냐고 물어봐 주신다면 저는 도자기를 좋아하는 것보다 도자기를 만들면서 보내는 시간을 정말 좋아하는 것 같아요. 저희가 시간을 내어 직접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고 이뤄내는 행위가 많지 않잖아요. 삶을 영위하는 생활에서 자아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순간이 많지 않은데, 작은 시간을 투자하셔서 도자기를 배우신다면  스스로 발전되는 모습을 뚜렷하게 볼 수 있는 게 도자기라고 생각해요.


만약 배우는 거에 관심이 없다면, 도자기를 사용하시면서도 느낄 수 있어요. 세상에 얼마나 많은 물질이 있어요. 이 물질이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생각해보셔도 좋고, 작가와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에 찾아가 본다면 시야가 훨씬 넓어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Info.

인스타그램ㅣ@moonjeongchoi___ 바로가기

최문정 작가의 작품 세계는

1월 28일 진행되는 세미나를 통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